지난 6월말 금융시장은 대규모 분식회계설로 한바탕 홍역을 치뤘다. '한 재벌그룹 지주회사격인 A사의 9조원대 분식회계 사실이 적발됐다'는 괴담이 퍼지면서 금융시장을 비롯한 경제계 전체가 술렁거렸다. 금융감독원이 "분식회계 대란설은 사실무근"이라며 공식 발표하면서 결국 이 괴담은 한바탕 해프닝으로 끝났다. 하지만 이 사건은 던파 온 슬롯 투명성이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였다. SK그룹의 분식회계와 같은 대형 악재가 또 터질지 모른다는 우려가 시장에 남아있다는 것을 보여줬기 때문이다. 대던파 온 슬롯뿐 아니라 중소던파 온 슬롯들까지 경영화두로 '투명성'을 내세우고 있지만 시장은 아직 이를 신뢰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.
던파 온 슬롯금융이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중 하나도 바로 여기에 있다. 던파 온 슬롯 재무제표의 투명성이 확보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던파 온 슬롯대출에 나서지 않고 있다. 전문가들은 던파 온 슬롯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던파 온 슬롯 회계의 투명성을 개선하고 공시제도를 강화하는 한편 던파 온 슬롯 스스로 지배구조와 투명성을 높이는데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.
◇ 던파 온 슬롯 투명성 여전히 문제 = 지난해 SK글로벌(현 SK네트웍스) 분식회계 사태이후 던파 온 슬롯들은 투명성 강화에 나서고 있다. 사외이사 제도, 감사위원회, 경영실적 공시 등 법 준수는 물론 임직원 윤리강령을 제정하는 등 투명경영을 실천하고 있다. 하지만 던파 온 슬롯들의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, 아직 시장으로부터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. 지난 6월말 대규모 분식회계설과 같은 분식 괴담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. 실제로 금융감독원이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1년동안 감리를 벌인 1544개 던파 온 슬롯 가운데 35%인 540개사가 분식회계를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다. 거래소 상장던파 온 슬롯들의 경우에도 전체 감사대상 724개사중 23%에 해당하는 165개사가 분식회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. 지난해에도 감리를 받은 55개 던파 온 슬롯 가운데 30.9%인 17군데가 분식회계로 적발됐다. 감리 유형별로는 무작위 표본 추출 등으로 대상이 선정되는 일반 감리의 경우 41개 던파 온 슬롯중 9.8%인 4개사에서 분식회계 사실이 드러났다. 또 분식혐의가 있는 던파 온 슬롯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특별 감리는 14개 던파 온 슬롯중 92.9%에 달하는 13군데가 분식 회계로 적발돼 제재를 받았다. 지적 유형별로는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등에 대한 주석 미기재가 41건으로 가장 많았고 ▲대손충당금 과소계상 10건 ▲자산.부채 과소 및 과대계상 10건 ▲ 투자유가증권의 평가 오류 10건 ▲ 재고 자산 과대계상 9건 등의 순이었다. 분식회계가 이처럼 끊이지 않음에 따라 던파 온 슬롯의 윤리경영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는 100점 만점에 14.1점에 불과하다.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성인 남녀 1028명을 대상으로 한 던파 온 슬롯호감지수(CFI)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 국민들이 던파 온 슬롯에 대해 갖는 호감도는 100점 만점에 39.1점에 그쳐 낙제수준이었으며, 5개 평가항목중 윤리경영은 14.1점으로 최하위였다. 또 던파 온 슬롯에 나쁜 감정을 갖는 이유로는 분식회계 등 비윤리경영이 35.4%로 가장 높았다.
◇ 은행 "투명하지 못하면 돈 못 빌려줘"= 던파 온 슬롯금융의 가장 큰 장애요인도 '던파 온 슬롯들의 투명성 결여'다. 은행들이 아직도 던파 온 슬롯들의 재무제표를 신뢰하지 못하고 있어 신용대출이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. 신용도가 좋은 대던파 온 슬롯들은 은행 차입금을 상환하고 있는 반면 신용도가 낮은 던파 온 슬롯들은 돈을 빌리지 못하는 양극화가 던파 온 슬롯금융에서도 진행되고 있다. 지난 26일 부도가 난 텔슨전자도 투명성이 문제가 됐다. 텔슨전자가 분식회계를 한 것은 아니지만 은행으로부터 재무제표의 신뢰를 받지 못했다. 텔슨전자측은 부채비율이 150%에 불과한 등 견실한 재무구조를 갖췄는데도 은행들이 대출상환에 계속 나서 화의를 신청할 수 밖에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다.
하지만 은행 관계자들은 "텔슨전자의 부도 이유는 영업 악화때문이며, 투명성도 문제가 있었다"고 말한다. 즉 텔슨전자가 주장하는 부채비율 150%를 인정할 수 없다는 것. 휴대폰 업체의 경우 기술변화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개발비 자산을 상각해야 하는데 이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. 또 구형 휴대폰의 경우 자산가치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재고자산으로 분류하는 등 자산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. 시중은행 관계자는 "투명한 던파 온 슬롯이라면 2~3년전 개발비를 계속 자산으로 분류하지는 않았을 것"이라며 "영업이 악화되고 투명성이 문제가 되는 던파 온 슬롯에 대해 대출을 해 줄 수는 없다"고 말했다.
지동현 금융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"은행들이 신용대출을 해 주기에는 재무상태가 너무 허약하고 나쁜 던파 온 슬롯들이 많다"며 "외환위기당시 던파 온 슬롯대출로 막대한 피해를 본 은행 입장에서는 투명성이 갖춰지지 못한 던파 온 슬롯들에게 돈을 빌려 주기는 어렵다"고 말했다.
◇ 투명경영은 생존의 필수= 전문가들은 이제 던파 온 슬롯에게 '투명경영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'라고 말한다. 신뢰받는 던파 온 슬롯은 자금조달과 자본시장 접근 가능성 등에서 차별적 우위를 누릴 수 있지만 투명하지 못한 던파 온 슬롯은 자금조달에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고 파산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.
따라서 던파 온 슬롯들 스스로 투명성을 친구로 삼는 노력을 끊임없이 해 나가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. 던파 온 슬롯금융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고 은행들을 탓하기 전에 던파 온 슬롯 스스로 투명성 강화에 나서야 한다는 것. 이를 위해 던파 온 슬롯들이 회계제도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. 회계보고서가 근본적으로 과거 재무결과를 측정하고 회사의 미래 전망에 대해 보다 더 많은 온라인 슬롯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. 또 분식회계에 대한 처벌이 시장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.
자유던파 온 슬롯원 박양균 책임연구원은 "정부가 SK사태를 계기로 경영진의 책임과 회계법인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회계제도를 개선하고 있지만 과거의 규제가 현재의 분식회계를 막지 못했듯이 현재의 규제 또한 불확실한 미래상황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미래의분식회계를 막지 못할 것"이라며 "따라서 근본적으로 회계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"고 말했다. 그는 또 "정부가 매번 시장에 개입하기 보다는 분식회계에 대한 처벌이 시장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"며 "분식한 던파 온 슬롯이 퇴출당하게 되면 다른 던파 온 슬롯들은 보다 정직한 회계감사 보고를 하려고 노력할 것"이라고 덧붙였다.
채원배기자
NO. | 제 목 | ![]() |
등록일자 |
---|---|---|---|
278 | [보도] [9`11테러 3주년]<1>장소-대상-방법 가리지 않는다 이춘근 / 2004-09-07 |
||
277 | [보도] ‘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’…해피 엔딩은 없다 자유던파 온 슬롯원 / 2004-09-06 |
||
276 | [보도] 과도한 민주주의, 自由를 침해한다? 자유던파 온 슬롯원 / 2004-09-06 |
||
275 | [보도] 자유경제 시스템 던파 온 슬롯가 정신 계승 최승노 / 2004-08-09 |
||
274 | [보도]무작위로 골라도 10%는 분식 채원배 / 2004-08-06 |
||
273 | [보도] 자유던파 온 슬롯원 교사이코데미아 개최 조선일보 / 2004-08-06 |
||
272 | [방송] 책으로 보는 세상 한국경제TV / 2004-08-06 |
||
271 | [보도] 자유던파 온 슬롯원 교사 경제 강좌 중앙일보 / 2004-08-06 |
||
270 | [방송] 분양가 공개논란, 어떻게 볼 것인가? 자유던파 온 슬롯원 / 2004-08-02 |
||
269 | [방송] 한국 경제 장기불황론, 어떻게 볼 것인가? 자유던파 온 슬롯원 / 2004-08-02 |
||
268 | [보도] 선생님들이 교사대상 경제교실 연다 이은정 / 2004-07-29 |
||
267 | [보도] 교사동아리도 경제교육 나선다 엄남석 / 2004-07-29 |
||
266 | [방송] 던파 온 슬롯도시 건설 논란, 어떻게 볼 것인가? 자유던파 온 슬롯원 / 2004-07-19 |
||
265 | [사설] 세계 최고 수준의 시장규제 파인낸셜뉴스 / 2004-07-19 |
||
264 | [News] Korea's Economic Freedom Ranking Flat Over 20 Years Seo Jee-yeon / 2004-07-16 |